RPAS (Remotely Piloted Aircraft Systems)는 우리말로 원격 조종 비행체 시스템이라고도 불리며, ICAO(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에서는 다음과 같이 정의됩니다.
RPAS는 조종사가 기체의 비행 경로, 높이 및 비행 속도 등을 직접 제어하지 않고, 원격으로 비행 시스템을 조작하여 비행을 수행하는 항공기입니다.
RPAS는 일반적으로 RPA (Remotely Piloted Aircraft), 무인 항공기 또는 드론이라고도 불리며, 무인 항공기는 항공 규정에서 RPAS와 RPA 모두를 가리킵니다.
RPAS는 감시, 탐사, 재난 구조, 토지 조사, 농업, 환경 모니터링, 석유 및 가스 산업, 항공 사진 촬영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그러나 이러한 용도에도 불구하고 RPAS를 운용할 때는 안전 및 보안 문제에 대한 이슈가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합니다.
RPS (Remote Pilot Station)는 RPAS를 운용하기 위한 조종사의 관제탑과 같은 역할을 합니다. RPS는 RPAS의 모든 운용에 필수적이며, 조종사는 비행을 감시하고 명령을 내리며, 기체의 운행 상태를 모니터링 합니다. RPS는 조종사가 RPAS를 조작하는 중요한 장치로, 안전한 비행을 위해 고도의 기술력과 훈련이 요구됩니다.
RPA (Remotely Piloted Aircraft)는 RPAS에서 항공기를 의미합니다. RPA는 자율 비행 및 제어 능력, 모션 제어, 센싱 및 통신 능력을 갖춘 항공기입니다. RPA의 크기와 형태는 다양합니다. 대형 비행기부터 소형 드론까지 다양한 크기와 형태가 있으며,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RPA가 사용됩니다.
C2 LINK는 RPAS와 RPS 사이의 통신 링크를 의미합니다. C2 LINK는 RPAS와 RPS 사이의 안정적인 통신을 보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C2 LINK는 RPAS의 운용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안전한 비행을 위해 신뢰성이 높아야 합니다. C2 LINK는 무선 및 유선 통신을 사용할 수 있으며 C2 LINK는 RPAS와 RPS 사이의 데이터 및 명령어 전송을 담당합니다. RPAS가 조종사의 명령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안정적이고 신뢰성 높은 C2 LINK가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C2 LINK는 여러 가지 기술을 사용합니다.
무선 C2 LINK는 RPAS와 RPS 사이에 무선 신호를 사용하여 통신합니다. 무선 통신은 휴대성이 높고 유연하며, 장애물에 구애받지 않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무선 통신은 주파수 간섭, 신호 감쇠 및 전파의 불안정성 등의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유선 C2 LINK는 RPAS와 RPS 사이에 유선을 사용하여 통신합니다. 유선 통신은 안정적이고 높은 대역폭을 보장하며, 데이터 전송 속도와 안정성이 높습니다. 그러나 유선 통신은 제한된 범위 내에서만 작동할 수 있으며, 이동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C2 LINK는 RPAS 운용 시 필수적인 요소이며, 안전한 비행을 위해 신뢰성이 높아야 합니다. 따라서 C2 LINK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 다양한 기술 및 장치가 사용됩니다. 또한, RPAS의 비행 지역 및 운용 환경에 따라 적절한 C2 LINK 기술을 선택하여 운용해야 합니다.
RPAS와 C2 LINK의 기술적인 발전은 RPAS의 용도와 가능성을 크게 넓혀주었으며, 더욱 안전하고 효율적인 RPAS 운용을 위해 계속해서 기술적인 발전과 연구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Major > #드론공학(Drone Tech)'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항공기에 작용하는 힘 (Aerodynamic forces in aviation) (0) | 2023.04.23 |
---|---|
유무인복합체계(MUM-T) (0) | 2023.04.23 |
UAM 기술 개발과 적용 (Developing and applying UAM technologies) (0) | 2023.04.22 |
UAM의 개념과 가능성 (The concept and possibilities of UAM) (0) | 2023.04.22 |
드론과 사회 문제 (Drones and social issues) (0) | 2023.04.22 |
댓글